정보/건강·호기심

왜 하품이 날까? / 하품은 어떻게 전염될까?

용돌 2022. 7. 28. 23:49

어렸을 때 하품하다가 턱이 빠진 적이 있다.

 

그래도 당시에는 하품을 왜 하는지에 대해서 의문을 품지는 않았던 것 같다.

 

 

하지만 하품은 생각해보면 참 기묘한데

하품하는 모습은 사람에게서뿐만이 아니라 동물에게서도 자주 볼 수 있으며

 

심지어 전염까지 된다는 점이다.

 

단순히 하품하는 사람을 보면 하품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품하는 사람의 사진, 동물의 사진을 보거나 하품이라는 단어만 보아도 하품을 한다.

(이 글을 쓰며 적어도 다섯번은 하품했다.)

 

왜 하품을 하는 것일까?

 

정말 

놀랍게도 앞서 작성한 딸꾹질, 옆구리 당김 글과 같이

 

명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약 4-5년 전까지만 해도 유력한 가설은

뇌에 산소가 부족해서 하품을 한다는 것이었는데, 실험 결과 이는 아니라고 밝혀졌다.

 

그에 나온 다음 유력한 가설은

"뇌 냉각 가설"

다시 말해 뇌에 휴식이 필요해서, 뇌를 식히기 위해 하품을 한다는 것이다.

 

만화에서는 지루함의 표시로 하품하는 장면을 집어넣는다.

 

하지만 하품은 뇌에 휴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하는 일종의 각성을 위한 몸의 장치라고 할 수가 있는 것이었다. 

 

인간을 비롯하여 모든 하품을 하는 동물들의 모습은 다 같다.

입과 콧구멍이 크게 벌어지며 들숨과 날숨이 길게 이루어진다는 것인데 

 

이 행위가 코 옆, 빈 공간인 부비동을 팽창시켰다가 수축시키고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뇌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어린아이는 아랫목에 재우라는 옛날 얘기를 필자는 들어봤다.

윗목은 굉장히 뜨끈하고 아랫목은 상대적으로 차가운데,

머리가 차가워야 공부를 잘하기 때문에 아이는 아랫목에 재우라는 그런 말이다.

 

이는 실험으로도 진행되었다고 한다. 

 

머리에 차가운 수건을 올려놓은 집단, 따뜻한 수건을 올려놓은 집단을 나누고

어떠한 과제를 제시하였더니

차가운 수건을 올려놓은 집단이 과제를 더 빠르고 수월하게 진행하였다는 것이다.

(어르신들이 몸이 뜨끈해야 건강하니까 그런 말이 나온 줄 알았는데 과학적 근거가 있는 말이었던 것이다.)

 

이 냉각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은 하나 더,

뉴욕주립대의 연구팀이 스물 셋종류의 동물 하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뇌의 크키가 크고, 신경세포가 많을수록 하품의 시간이 더 긴 것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인간의 평균 하품 시간은 6초, 인간보다 뇌가 훨씬 작은 쥐의 평균 하품 시간은 1.5초였다.)

 

뇌가 클수록 뇌를 식히는데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길다는 것.

 

그렇다면 이제,

또 궁금한 것이 있다.

 

하품은 왜 전염되며 어떻게 전염될까?

 

뇌를 식히기 위함이라면 '하품'이라는 단어만 봐도 하품을 할 이유가 없지 않나?

 

이에 대해 영국의 잭슨 교수와 연구진들은 

하품이 전염되는 것은 뇌에서 일어나는 반사작용이라고 발표했다고 한다.

 

실험자들에게 하품의 전염을 유발한 뒤 뇌의 작용을 관찰한 결과,

 

뇌의  일차운동영역

(그림의 primary motor area)

의 본능적인 반사작용에 의해 하품이 전염되듯 유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이 일차운동영역에 전류를 보내면 하품의 전염이 더 활발히 일어나고

흐름을 막으면 하품을 참을 수 있게 되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한다.)

 

이러한 반사작용이 일어나는 까닭은 바로 "공감"에 있었다.

 

뇌에서 공감을 담당하는 '거울뉴런'이라는 신경세포가 있다.

거울뉴런은 우리가 다른 사람의 표정이나 상황을 보았을 때,

그 사람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고

관찰, 간접적으로 경험한 것만으로도 마치 본인이 그 일을 직접 하고 있는 것처럼 반응하여 우리의 학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다른 사람의 하품을 따라할 때 이 거울뉴런이 아주 활발히 작동한다.

 

하품의 전염이 공감 능력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낯선 사람이 하품하는 것을 보았을 때보다 

가족, 연인, 친구 등 친밀한 사람이 하품하는 것을 보았을 때 하품이 더 잘 전염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